“정부가 돈 준다는데 왜 나는 못 받지?”
요즘 근로장려금 관련 검색이 많아졌다.
특히 2030세대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문제는 아직도 신청 안 하는 사람,
자격이 되는데도 포기한 사람이 많다는 것.
오늘은 2025년 근로장려금에 대해
조건, 금액, 신청 방법을 간단히 정리해본다.
그리고 이 제도를 최대한 똑똑하게 활용하는 팁까지 공유한다.
1. 근로장려금이란?
근로장려금은
‘일은 하지만 소득이 낮은 사람’을 위해
정부가 직접 돈을 지급하는 제도다.
쉽게 말해,
일하는 저소득층에게 주는 보너스라고 보면 된다.
2025년 기준,
연간 최대 330만 원까지 지급되며
소득·가구 유형에 따라 금액은 달라진다.
2. 신청 자격 (2025년 기준)
가구 유형에 따라 조건이 다르다.
종류 | 연소득금액 |
단독 가구 | 연소득 2,200만 원 미만 |
홀벌이 가구 | 연소득 3,200만 원 미만 |
맞벌이 가구 | 연소득 3,800만 원 미만 |
그리고 재산은
총 2억 원 미만이어야 한다.
(전세보증금, 자동차 등 포함)
중요한 건,
프리랜서, 배달 알바, N잡러도 대상이라는 점이다.
소득 신고만 제대로 되어 있다면 가능하다.
3. 신청 기간과 방법
- 정기 신청: 매년 5월
- 기한 후 신청: 11월 말까지 가능 (단, 10% 감액)
신청 방법은 간단하다.
- 홈택스 앱 또는 웹 접속
- [근로장려금 신청하기] 메뉴 선택
- 주민번호 입력 후, 안내 따라 제출
혹은 국세청에서 문자나 우편으로 안내가 오는 경우도 많다.
이 경우, 한 번의 클릭으로 자동 신청 가능하다.
4. 실수 없이 받는 꿀팁
- 연말정산 또는 종소세 신고 꼭 하기
- 통장 사본 미리 등록해두기
- 홈택스 알림 서비스 활성화
또한,
가구 유형을 잘못 선택하면
지급액이 적거나 누락될 수 있다.
혼자 살고 있다고 무조건 ‘단독 가구’는 아니다.
부양가족 유무, 배우자 소득 여부 등
꼼꼼히 확인해야 한다.
마무리하며
근로장려금은
“왜 나는 몰랐지?” 하고 후회하기 쉬운 제도다.
하지만 제대로 활용하면
소득 10% 이상의 추가 수입이 될 수 있다.
2025년에도 역시
정보가 곧 자산이다.
자격이 된다면, 망설이지 말고
지금 바로 홈택스로 확인해보자.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하반기 물가 전망, 서민 가계에 닥칠 3가지 변화 (6) | 2025.08.12 |
---|---|
하루 5분으로 1년 치 이자 아끼는 법 (2025년 최신 기준) (4) | 2025.08.07 |
컵라면 1,800원 시대, 가난한 월급의 비밀 (5) | 2025.08.05 |
2030 돈 안 모이는 진짜 이유 3가지 (2) | 2025.08.05 |
코스피 4000 돌파 가능성 분석 및 전문가가 말하는 주식시장 전략 TOP4 (7) | 2025.07.27 |